안녕하세요, 예비 부모님들~~ 오늘은 2025년 경기도 출산장려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경기도 각 시군마다 지원 금액이 다르니 꼭 확인해보세요.
* 시・군 자체적으로 운영하므로 상세 지원 사항은 해당 시・군으로 문의하시고,
* 시・군별 담당부서 및 전화번호는 여기로 들어가보세요
1. 수원시
- 둘째: 50만원
- 셋째: 200만원
- 넷째: 500만원
- 다섯째 이상: 1,000만원 (분할지급)
- 세쌍둥이 이상: 500만원 추가 지급
2. 고양시
- 첫째: 100만원
- 둘째: 200만원
- 셋째: 300만원
- 넷째: 500만원 (분할지급)
- 다섯째 이상: 1,000만원 (분할지급)
3.용인시
- 첫째: 30만원
- 둘째: 50만원
- 셋째: 100만원
- 넷째: 200만원
- 다섯째 이상: 300만원
4. 성남시
- 첫째: 30만원
- 둘째: 50만원
- 셋째: 100만원
- 넷째: 200만원
- 다섯째 이상: 300만원
5. 부천시
- 넷째 이상: 700만원 (10회 분할)
6. 화성시
- 첫째: 100만원
- 둘째: 200만원
- 셋째 이상: 300만원 (2회 분할)
7. 안산시
- 첫째: 100만원
- 둘째: 300만원
- 셋째 이상: 500만원
여러분, 이렇게 경기도 주요 도시들의 출산장려금을 살펴봤어요. 나머지 시군들도 궁금하시죠? 계속해서 알아볼게요!
이 도시들은 모든 자녀에게 동일한 금액을 지원해요.
8. 남양주시, 파주시, 의정부시, 광명시
- 남양주시, 파주시: 모든 자녀 100만원 (파주시는 분할 지급)
- 의정부시: 둘째부터 100만원
- 광명시: 모든 자녀 70만원
9. 평택시, 시흥시, 파주시
- 평택시: 첫째 50만원, 둘째 120만원, 셋째 300만원, 넷째 이상 500만원
- 시흥시: 둘째 50만원, 셋째 100만원, 넷째 이상 800만원 (4회 분할)
- 파주시: 첫째 100만원, 둘째 200만원, 셋째 이상 300만원 (2회 분할)
10. 김포시, 광주시, 군포시
- 김포시: 둘째 이상 100만원
- 광주시: 모든 자녀 100만원, 셋째 이상 20.9만원 매월 12개월간
- 군포시: 첫째 100만원, 둘째 300만원, 셋째 500만원, 넷째 이상 700만원
11. 하남시, 오산시, 양주시
- 하남시: 첫째 50만원, 둘째 100만원, 셋째 200만원, 넷째 1,000만원 (4회 분할), 다섯째 이상 2,000만원 (4회 분할)
- 오산시: 첫째 20만원, 둘째 50만원, 셋째 300만원 (3년 분할), 넷째 이상 600만원 (3년 분할)
- 양주시: 넷째 이상 700만원 (4회 분할)
12. 이천시, 구리시, 안성시, 포천시
- 이천시: 첫째 100만원, 둘째 200만원, 셋째 300만원, 넷째 이상 500만원
- 구리시: 첫째 50만원, 둘째 100만원, 셋째 200만원, 넷째 이상 300만원
- 안성시: 둘째 이상 100만원
- 포천시: 첫째 100만원, 둘째 300만원, 셋째 500만원 (2회 분할), 넷째 이상 1,000만원 (4회 분할)
13. 의왕시, 양평군, 여주시, 동두천시
- 의왕시: 첫째 100만원, 둘째 200만원, 셋째 300만원, 넷째 이상 500만원
- 양평군: 첫째 500만원, 둘째 500만원 (4회 분할), 셋째 1,000만원 (4회 분할), 넷째 이상 2,000만원 (5회 분할)
- 여주시: 첫째 100만원, 둘째 500만원 (5회 분할), 셋째 이상 1,000만원 (5회 분할)
- 동두천시: 첫째 100만원, 둘째 150만원, 셋째 250만원, 넷째 이상 500만원 (2회 분할)
14. 가평군, 과천시, 연천군
- 가평군: 첫째 100만원, 둘째 400만원 (2회 분할), 셋째 1,000만원 (5회 분할), 넷째 이상 2,000만원 (10회 분할)
- 과천시: 첫째 100만원, 둘째 150만원, 셋째 300만원 (2회 분할), 넷째 이상 500만원 (4회 분할)
- 연천군: 첫째 100만원 (2회 분할), 둘째 200만원 (2회 분할), 셋째 500만원 (5회 분할), 넷째 이상 1,000만원 (5회 분할)
여러분, 이렇게 경기도 31개 시군의 출산장려금을 모두 살펴봤어요. 정말 지역마다 차이가 크죠? 양육비가 있는 지역도 있으니 더불어 놓치지 마세요.
꼭 기억하세요. 대부분 지역에서 거주 기간 조건이 있어요. 보통 6개월에서 1년 정도 해당 지역에 살아야 지원받을 수 있답니다. 또, 분할 지급하는 곳이 많으니 참고하시고 둘째아부터 지급하는 곳들도 있으니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출산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거주지의 구체적인 지원 내용을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아이를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행복한 육아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이 도움되셨다면 광고 꾸욱 부탁드립니다^^
댓글